no image
라플라스 변환, 전달 함수, 특성 방정식, DC gain
Convolution Convolution의 정의는 total 통증이다. Laplace transform final value theorem, 라플라스 변환/역변환 transfer function(전달 함수) 실제 장비로 정교한 임펄스 function을 만드는 건 어렵기에 임펄스 응답을 라플라스 하는 것은 어렵다. 그래서 전달 함수는 출력/입력으로 정의하는게 낫다. G(s) = Y(s)/U(s) 시간 도메인에서 y(t) 시간 도메인에서 y(t)는 라플라스 역변환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. characteristic function (특성 방정식), DC gain
2024.03.01
no image
Shift Register - 74HC595
Shift RegisterFND(Flexible Numeric Display)를 다룬다고 가정해 보자. 한 자리 숫자만을 출력해도 8개의 핀이 필요하다.이런 경우 시프트 레지스터를 활용하여 하나의 핀으로 8개의 output을 제어할 수 있다. (약간의 delay는 생긴다.)74HC595Q0 ~ Q7 : parallel output pins of registerDS : Serial data input pinSHCP : shift register clock pinSTCP : storage register(Latch) clock pinOE : output enable, Latch의 출력을 끌 수 있다.MR : master re-clear, 시프트 레지스터를 reset 할 수 있다. Shift register의..
2024.02.19
no image
아두이노 DAC, PWM
Digital-to-Analog Converter (DAC)아두이노는 DAC기능이 없어 연속적인 아날로그 값을 만들 순 없지만 PWM을 이용해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다. (UNO R4는 있는 듯)Pulse Width Modulation (PWM)LED 밝기 조절을 예시로 살펴보자.어떻게 전압의 펄스 폭 조절이 밝기에 변화를 줄 수 있을까?=> 펄스의 주기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사람 눈으로 본다면 펄스 폭이 50%인 것은 밝기가 50%인 것과 같게 보인다. 아두이노의 AnalogWriteMega.ino example을 실행시켜보자.const int lowestPin = 4;const int highestPin = 6;void setup() { // set pins 2 through 13 as outpu..
2024.0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