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elog에서 이전한 글 입니다.

4F

Fact

  • security filterChain의 동작을 더 명확히 공부하였다.
  • hibernate-core jpaspring data jpa을 정리했다.

이번 주차 시험을 진행하며

  • 다대다 테이블을 1:N으로 풀어내는 것에 대한 이점을 생각해보았다.
  • spring data jpa에서 순환 참조를 마주쳤고 Dto와 jackson어노테이션으로 해결해보았다.

CS스터디를 하며

  • ArrayList capacity 할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따라가며 정리했다.
  • LinkedList와 ArrayList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며 각 자료구조의 특징을 생각해보았다.

Feeling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2mUJmX2V8U
'면접왕 이형'의 영상에서 취준 루틴을 다룬 내용이다.
루틴을 통해서 무언갈 성공적으로 경험한다면 관점이 바뀌고 심리,정서,안정감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한다.

 

TIL과 WIL은 성장,기록,회고 등 많은 순기능이 있고
나에게는 루틴의 일부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있는 듯 하다.

Finding

페어와의 대화

    • security filterChain의 인가/인증 순서를 잘못 이해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.
    • 문제를 만들어보고 깊게 따라가보고자 했다.
    •  

ResponseEntityHttpEntity를 상속받는다. ResponseEntityHttpEntity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? 그 차이는 ResponseEntity를 사용하는 이유일 것이다.
HttpEntity는 header와 body에 값을 할당하고 status는 set하는 것 같지 않다. 헤더도 바디도 아니면 status code는 어디서 할당되고 응답에서 받을 수 있을까?
status는 서블릿 같은 역할의 reponse객체에서 무언가 set될 것 같다. 서블릿 코드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? org.apache.tomcat.embed:~~corejakarta.servlet.http에서 볼 수 있는 것 같다.
코드만으로는 잘 감이오지 않는다. 서블릿 컨테이너, 웹 서버, Application context 등의 키워드를 알아보고 구조를 정리해보자.

 

기술 매니저님과의 대화

  • core jpa, spring data jpa를 잘 공부해서 정리해두는게 좋다.
  • 양방향과 단방향의 특징을 정리해보자. -> 순환 참조도 양방향과 관련이 있다.

cs스터디

  • LinkedHashSet 공부하고 정리해보자. 생각보다 좋은 성능을 내는 것 같다.

Future

루틴에 관한 내용은 'TIL/WIL'과도 밀접하고 특강 매니저님이 말한 "번아웃은 할 일이 다음으로 미뤄지면서 시작된다."는 말과도 연관된다고 생각한다.
무언갈 몰아붙이지 말고 차분하게 착실히 나아가자.